맨위로가기

사가미 종합보급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미 종합보급창은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위치한 미군 기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제국 육군의 전차 생산 기지였으며, 종전 후 미군에 점령되어 주일 미군의 보급창으로 사용되었다.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반전 운동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2000년대 이후 부지 일부가 일본에 반환되어 도로 건설 및 공원 조성 등에 활용되었다. 현재는 제38방공포병여단, 국방물류청 등이 주둔하고 있으며, 미군 재편에 따라 지휘 훈련 센터가 설치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미하라시의 건축물 - 캠프 자마
    캠프 자마는 가나가와현 자마시에 있는 미군 기지로, 과거 일본 육군 사관학교 부지였으나 현재는 주일 미 육군의 주요 기지로서 여러 시설과 부대를 운영하며, 각종 논란과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존재한다.
  • 사가미하라시의 건축물 - 자마 주둔지
    자마 주둔지는 가나가와현 자마시에 위치한 육상자위대 주둔지이며, 육군사관학교가 이전하여 소부다이로 불렸고, 미군 주둔을 거쳐 2013년 중앙 즉응 집단 사령부 등이 이전하면서 현재 육상총대 사령부 등 여러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주일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자마
    캠프 자마는 가나가와현 자마시에 있는 미군 기지로, 과거 일본 육군 사관학교 부지였으나 현재는 주일 미 육군의 주요 기지로서 여러 시설과 부대를 운영하며, 각종 논란과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 존재한다.
  • 주일 미국 육군의 기지 - 도리이 스테이션
    오키나와현 요미탄촌에 있는 도리이 스테이션은 과거 통신 시설이었으나 현재는 미국 육군의 주요 주둔지로, 서태평양 지역 미군의 전략 통신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과거 오키나와 전투 당시 미군의 상륙 지점이었고 기지 건설 과정에서 주민들의 토지가 강제 징발되기도 했다.
  • 1935년 설치 - 완주군
    완주군은 전라북도 북부 내륙에 위치하여 전주시를 둘러싸고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군으로,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축제를 통해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1935년 설치 - 안덕면 (서귀포시)
    안덕면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속하는 면으로, 산방산, 용머리, 화순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과 안덕계곡 상록수림, 대정향교 등 문화재를 보유하며, 안덕계곡에서 명칭이 유래되었고 11개의 행정리를 관할한다.
사가미 종합보급창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35전투유지지원대대 본부
위치사가미하라시 가나가와현, 일본
좌표북위 35.580717, 동경 139.377762
면적약 200 ha
관할일본, 미국
google_map사가미 종합보급창
역사
건설1935년
건설 주체일본 제국 육군
사용일본 제국 육군(1935~1945)
주일 미국 육군(1945~현재)
조직
주둔 부대제35전투유지지원대대
현재 지휘관(정보 없음)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 제국 육군주둔지이자 미쓰비시가 개발하고 생산한 각종 전차를 출고하던 "요코하마 기술창"(요코하마 기쥬츠쇼/横浜技術廠일본어) 혹은 "사가미 공창(무기고)"(사가미 고쇼/相模工廠일본어)이었다.[28] 1935년 이케다 대령 휘하의 도쿄 제1 육군 조병창의 분소로 개설되었으며, 1936년에 사가미 육군 조병창으로 개칭되어 전차를 주로 생산했다. 사가미 보급창은 120톤 "O-I" 실험용 중전차 개발의 시험장이었으며, 일본군이 지바에서 발사하여 미국 서부 해안 지역에 화재를 일으키는 풍선 소이 장치를 제조하기도 했다.

1945년 9월, 사가미는 미 육군 제5 기병 연대에 점령되었다. 종전 이후, 연합군에 점령된 후에는 제35전투유지지원대대(35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영어, 옛 제35보급근무대대(35th Supply & Service Battalion영어))의 주둔지이자, 주일 육군의 혼슈 지역을 담당하는 보급창이 되었다.[28] 한국 전쟁 당시 미군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7년, 육군은 사가미 종합보급창에서의 작전을 축소하기 시작했다.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면서 1972년 군용 차량 반출 저지 운동이 활발해져, 연일 항의 운동에 많은 참가자가 정문 부근에 모였다.[7] 9월 4일에는 저지 운동을 위해 보급창 앞에 집결한 중핵파 800명과 혁마르파 700명이 내부분열 상태가 되어, 제지에 나선 기동대원을 포함해 약 120명이 부상당했다.[7] 9월 8일에는 야외 집적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학 소방차 8대가 출동하여 진화했지만, 20리터들이 페인트 통 약 200개, 200리터들이 드럼통 약 100개의 절반이 소실되었다. 미국 군 측은 자연 발화로 추정된다고 연락했지만, 화재 발생 장소에서 7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폐자재 노천 소각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8] 1973년 2월 6일에는 야포 포신의 완충 장치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파편이 튀어 일본인 작업원 1명이 사망했다.[9]

1994년부터 2007년까지 13년동안 제9전구지원사령부(9th TAACOM)에서 사가미 종합보급창을 관리하였다.[28]

2008년 6월, 미일 합동 위원회에서 시설 서쪽의 약 17헥타르 부지[5]를 일본에 반환하고, 그 북쪽에 인접한 약 35헥타르 부지[5]를 미일 공동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2014년 9월 30일, 서쪽 17 ha 가량의 부지가 일본에 반환되었다.[28] 2015년 9월에는 이전 주거 지역 토지가 일본에 반환되었고, 일부는 공동 사용으로 지정되었다.[2]

2015년 8월 24일 새벽 0시 45분경, 보급창 안의 창고에서 여러 번의 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했다.[29][30] 화재는 6시간 만에 진화되었고 부상자는 없었지만, 창고를 포함한 주변 900m2이 완전히 탔다.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타버린 창고에는 인화성 혹은 방사성 물질은 보관하지 않았고, 뭐가 있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29][30] 같은 날, 질소, 프레온, 산소 및 압축 공기 탱크가 보관된 보관 건물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

2009년 11월 말에는 소이탄 약 90발이 발견되어, 12월 4일과 7일에 폭파 처리[11]를 했다. 4일의 폭파 처리는 주변 주민들에게 사전에 전달되지 않아, 갑작스러운 폭음에 놀란 시민들의 항의가 쏟아졌다.[10] 2010년 1월 25일에는 소이탄 약 25발이 발견되었지만[12], 요코스카 기지의 폭파 처리반 조사 결과 철 파이프로 판명되었다.[13] 2010년 8월 27일에는 전투 지휘 훈련 센터 건설 공사 과정에서 불발탄(소이탄) 약 100발이 발견[14]되어, 부지 내에서 폭파 처리를 했다.

2013년 9월 1일에는 후치노베 공원 인접지에서 진행되었던 사가미하라시 종합 방재 훈련이 규모 확장에 따라 보급창 내에서 실시되었고, 미국 육군에서도 소방대가 참가했다.[16][17][18] 2014년 9월 1일에는 반환 예정지가 처음으로 수도권 방재 훈련의 '중앙 회장'이 되어, 훈련이 실시되었다.[17]

2017년 4월 22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남북을 종단하는 약 2헥타르에서 남북 도로 공용이 시작되었다. 2018년 3월 26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서쪽에서 동서 도로 공용이 시작되었다. 2020년 11월 14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북쪽에 있는 공동 사용 구역에서 사가미하라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파크의 일부를 공용 개시했다. 2021년 4월 1일에는 사가미하라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파크에서 인조 잔디 운동장 공용이 시작되었다.

2. 1. 일본 제국 육군 시기 (1935년 ~ 1945년)

1935년, 이케다 대령의 지휘 아래 도쿄 제1 육군 조병창의 분소로 개설되어, 1936년에 사가미 육군 조병창으로 독립했다. 주요 생산 품목은 일본 제국 육군전차였으며, 미쓰비시가 개발 및 생산을 담당했다. 120톤 "O-I" 실험용 중전차 개발 시험장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서부 해안을 공격하기 위한 풍선 소이탄을 제조하기도 했다.

2. 2. 미군 점령 및 한국 전쟁 (1945년 ~ 1953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 제국 육군주둔지이자 미쓰비시가 개발하고 생산한 각종 전차를 출고하던 "요코하마 기술창"(요코하마 기쥬츠쇼/横浜技術廠일본어) 혹은 "사가미 공창(무기고)"(사가미 고쇼/相模工廠일본어)이었다.[28] 1935년 이케다 대령 휘하의 도쿄 제1 육군 조병창의 분소로 개설되었으며, 1936년에 사가미 육군 조병창으로 개칭되어 전차를 주로 생산했다. 사가미 보급창은 120톤 "O-I" 실험용 중전차 개발의 시험장이었으며, 일본군이 지바에서 발사하여 미국 서부 해안 지역에 화재를 일으키는 풍선 소이 장치를 제조하기도 했다.

1945년 9월, 사가미는 미 육군 제5 기병 연대에 점령되었다. 종전 이후, 연합군에 점령된 후에는 제35전투유지지원대대(35th Combat Sustainment Support Battalion영어, 옛 제35보급근무대대(35th Supply & Service Battalion영어))의 주둔지이자, 주일 육군의 혼슈 지역을 담당하는 보급창이 되었다.[28] 한국 전쟁 당시 미군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57년, 육군은 사가미 종합보급창에서의 작전을 축소하기 시작했다.

2. 3. 베트남 전쟁 시기 (1960년대 ~ 1970년대)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면서 1972년 군용 차량 반출 저지 운동이 활발해져, 연일 항의 운동에 많은 참가자가 정문 부근에 모였다.[7] 9월 4일에는 저지 운동을 위해 보급창 앞에 집결한 중핵파 800명과 혁마르파 700명이 내부분열 상태가 되어, 제지에 나선 기동대원을 포함해 약 120명이 부상당했다.[7] 9월 8일에는 야외 집적장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학 소방차 8대가 출동하여 진화했지만, 20리터들이 페인트 통 약 200개, 200리터들이 드럼통 약 100개의 절반이 소실되었다. 미국 군 측은 자연 발화로 추정된다고 연락했지만, 화재 발생 장소에서 70m 정도 떨어진 곳에서 폐자재 노천 소각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밝혀졌다.[8] 1973년 2월 6일에는 야포 포신의 완충 장치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파편이 튀어 일본인 작업원 1명이 사망했다.[9]

2. 4. 냉전 이후 (1980년대 ~ 현재)

1994년부터 2007년까지 13년동안 제9전구지원사령부(9th TAACOM)에서 사가미 종합보급창을 관리하였다.[28]

2008년 6월, 미일 합동 위원회에서 시설 서쪽의 약 17헥타르 부지[5]를 일본에 반환하고, 그 북쪽에 인접한 약 35헥타르 부지[5]를 미일 공동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2014년 9월 30일, 서쪽 17 ha 가량의 부지가 일본에 반환되었다.[28] 2015년 9월에는 이전 주거 지역 토지가 일본에 반환되었고, 일부는 공동 사용으로 지정되었다.[2]

2015년 8월 24일 새벽 0시 45분경, 보급창 안의 창고에서 여러 번의 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했다.[29][30] 화재는 6시간 만에 진화되었고 부상자는 없었지만, 창고를 포함한 주변 900m2이 완전히 탔다.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타버린 창고에는 인화성 혹은 방사성 물질은 보관하지 않았고, 뭐가 있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29][30] 같은 날, 질소, 프레온, 산소 및 압축 공기 탱크가 보관된 보관 건물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

2018년 10월 16일, 미국은 일본 도쿄 인근 사가미하라(相模原)시에 있는 사가미 종합보급창에 주일미군의 탄도미사일방위부대 새 사령부를 설치했다. 새 사령부는 미군 제38방공포병여단 사령부 요원들로 구성되었으며, 정원은 115명이다. 이 사령부는 하와이 제94육군방공미사일방어사령부 소속으로, 일본에 배치된 2대의 사드 레이더를 통제한다. 사가미 종합보급창은 2백만 제곱미터 부지에 창고와 군용차 수리공장 등이 있으며, 6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2009년 11월 말에는 소이탄 약 90발이 발견되어, 12월 4일과 7일에 폭파 처리[11]를 했다. 4일의 폭파 처리는 주변 주민들에게 사전에 전달되지 않아, 갑작스러운 폭음에 놀란 시민들의 항의가 쏟아졌다.[10] 2010년 1월 25일에는 소이탄 약 25발이 발견되었지만[12], 요코스카 기지의 폭파 처리반 조사 결과 철 파이프로 판명되었다.[13] 2010년 8월 27일에는 전투 지휘 훈련 센터 건설 공사 과정에서 불발탄(소이탄) 약 100발이 발견[14]되어, 부지 내에서 폭파 처리를 했다.

2013년 9월 1일에는 후치노베 공원 인접지에서 진행되었던 사가미하라시 종합 방재 훈련이 규모 확장에 따라 보급창 내에서 실시되었고, 미국 육군에서도 소방대가 참가했다.[16][17][18] 2014년 9월 1일에는 반환 예정지가 처음으로 수도권 방재 훈련의 '중앙 회장'이 되어, 훈련이 실시되었다.[17]

2017년 4월 22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남북을 종단하는 약 2헥타르에서 남북 도로 공용이 시작되었다. 2018년 3월 26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서쪽에서 동서 도로 공용이 시작되었다. 2020년 11월 14일에는 일부 반환지의 북쪽에 있는 공동 사용 구역에서 사가미하라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파크의 일부를 공용 개시했다. 2021년 4월 1일에는 사가미하라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파크에서 인조 잔디 운동장 공용이 시작되었다.

미국 군 재편의 일환으로, 미국 육군은 캠프 좌마에 제1군단의 새로운 사령부를 설치하고, 동시에 미국 4군을 통합 지휘하는 전투 사령부(UEX)를 설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지휘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갖춘 지휘 훈련 센터가 사가미 종합 보급창에 설치될 예정이다.

3. 시설 현황

사가미 종합보급창일본 혼슈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있다.[1] 사가미 보급창에는 제38방공포병여단, 국방부 보급창 중앙 배급 센터, 주일 미군을 위한 국방물류청, 육군 의무 보관소가 있다.

미국 군 재편의 일환으로, 미국 육군은 캠프 좌마에 제1군단의 새로운 사령부를 설치하고, 동시에 미국 4군을 통합 지휘하는 전투 사령부(UEX)를 설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지휘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갖춘 지휘 훈련 센터가 사가미 종합 보급창에 설치될 예정이다.

3. 1. 주요 시설

사가미 종합보급창일본 혼슈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있다.[1] 사가미 보급창에는 제38방공포병여단, 국방부 보급창 중앙 배급 센터, 주일 미군을 위한 국방물류청, 육군 의무 보관소가 있다.

미국 군 재편의 일환으로, 미국 육군은 캠프 좌마에 제1군단의 새로운 사령부를 설치하고, 동시에 미국 4군을 통합 지휘하는 전투 사령부(UEX)를 설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지휘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갖춘 지휘 훈련 센터가 사가미 종합 보급창에 설치될 예정이다.

3. 2. 과거 시설

일본 혼슈 가나가와현 사가미하라시에 위치한 사가미 보급창에는 제38방공포병여단,[1] 국방부 보급창 중앙 배급 센터, 주일 미군을 위한 국방물류청, 육군 의무 보관소가 있었다.

3. 3. 전용 철도

부지를 따라 달리는 JR 요코하마선 후치노베역에서 야베역 부근까지 요코하마선을 따라 북상한 후, 사가미 종합 보급창 내로 들어가는 전용선이 부설되어 있었다. 이 6.1km에 달하는 전용선을 통해 철도 화물에 의한 군수 물자의 수송이 이루어졌지만 1979년 (쇼와 54년) 10월 1일에 폐지되었다. 지금은 후치노베역 구내에서 야베역에 걸쳐 주택 부지 내에 풀에 덮인 채로 선로가 잔존해 있다.

4. 지역 사회와의 관계

4. 1. 갈등

4. 2. 협력 및 반환

사가미 종합 보급창은 사가미하라 시가지를 가로막는 구조로 되어 있어, 시내 교통 우회로 인한 교통 체증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지역에서는 지속적인 반환 요구가 있었고, 2006년 2월 미일 양국 정부는 보급창 부지 일부 반환 및 보급창을 남북으로 종단하는 도로 정비에 합의했다.[20] 2008년 6월, 미일 합동 위원회는 시설 서쪽 일부 부지(약 17헥타르)의 일본 반환, 북쪽에 인접한 부지(약 35헥타르)의 미일 공동 사용, 그리고 양 부지 동단을 남북으로 종단하는 부지(약 2헥타르)의 일본 반환을 정식 결정했다.[6][21]

남북 종단 부지(약 2헥타르)에는 도로 건설이 이루어져 2017년 4월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는 도쿄도마치다시에서 사가미하라역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며, 2018년 3월에는 남북 도로와 고요 초등학교 방면을 잇는 동서 도로도 정비되었다. 남북 도로 지하에는 오다큐 전철타마선 연장 계획도 검토되고 있다.[6]

2010년 6월, 약 17헥타르의 토지(일부 부지)가 2013년 말까지 반환될 예정이라고 발표되었다.[22] 이는 JR 요코하마선 사가미하라역 북쪽 출구 앞 재일 미국 육군 주택 용지를 사가미하라 주택 지구에 통합함으로써 실현되었으며, 2014년 9월 30일 반환이 완료되었다.[6] 사가미하라시는 반환지에 공공 시설 및 상업 시설 등을 정비하는 기본 계획을 2014년 6월에 수립했으나, 컨벤션 센터 건설[23], 시청 이전[24] 등의 안만 제시되었을 뿐, 구체적인 정비 계획은 결정되지 않았다.

서쪽 일부 반환지 북쪽은 미일 공동 사용 구역(약 35헥타르)으로 지정되었으며, 2020년 11월에는 공동 사용 구역 남쪽 일부에 사가미하라시의 "사가미하라 스포츠・레크리에이션 파크"가 정비되었다.[25]

4. 3. 리니어 중앙 신칸센 유치 논란

리니어 중앙 신칸센의 중간역 유치와 관련하여, 가나가와현 지사는 하시모토역을 후보지로 공식 표명했지만, 지역의 일부에서는 JR 사가미하라역에 인접한 사가미 종합보급창 부지를 거론하는 사람도 있었다.[26] 이 경우, 리니어 중앙 신칸센을 시나가와역에서 사가미하라역까지 직진 루트로 건설하기 위해서는 미반환 부분의 지하를 횡단해야 하는 이 안건에 대해서는 비현실적이라는 시각도 있었다.[26]

사가미하라 시장은 개인적인 의견으로, 리니어 중앙 신칸센의 중간역 건설과 앞서 언급한 오다큐 타마선의 연장을 함께 개발하는 것도 검토했지만[27], 결국 이 구상은 포기되었고, 최종적으로 리니어 중앙 신칸센의 역은 하시모토역 부근에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5. 사진첩



참조

[1] 웹사이트 38th Air Defense Artillery Brigade https://www.army.mil[...]
[2] 뉴스 Army returning some land near Tokyo to Japan http://www.stripes.c[...] Stars and Stripes 2015-08-23
[3] 뉴스 Explosion reported at US military facility in Japan https://web.archive.[...] Fox News 2015-08-23
[4] 뉴스 地震なみ戦車試走 迷惑なベトナム帰り 1969-11-25
[5] PDF 相模原駅周辺地区まちづくり構想 ~さがみはら新都心整備構想~ http://www.city.saga[...] 相模原市 2008-03
[6] 웹사이트 相模補給廠17ヘクタール返還 15年度まで整備計画 在日米軍再編08年合意実現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カナロコ 2014-10-01
[7] 뉴스 社共、大きな衝撃 相模補給廠の内ゲバ 負傷、百二十人に 1972-09-05
[8] 뉴스 相模補給廠で火事 「自然発火」市民は不安気 1972-09-09
[9] 뉴스 解体中の部品引き飛んで当たる 1973-02-07
[10] 뉴스 「米軍と調整中」焼夷弾爆破処理中止要請に対し国回答/相模原 http://news.kanaloco[...] 2009-12-06
[11] 뉴스 焼夷弾問題で市の中止要請にもかかわらず米軍が爆破処理再開/相模原 http://news.kanaloco[...] 2009-12-07
[12] 뉴스 また焼夷弾か、米軍相模総合補給廠内の工事現場で発見 http://news.kanaloco[...] 2010-01-25
[13] 뉴스 焼夷弾ではなく鉄パイプ、補給廠で発見の物体/相模原 http://news.kanaloco[...] 2023-04-19
[14] 웹사이트 相模総合補給廠における焼夷弾の処理について http://www.city.saga[...] 相模原市役所 2017-11-04
[15] 뉴스 補給廠の一部返還予定地で11月にフェスタ開催へ/相模原市 http://news.kanaloco[...] 2010-08-20
[16] 뉴스 相模原市総合防災訓練:補給廠で初開催、121団体から5千人参加/神奈川 http://news.kanaloco[...] 2013-09-02
[17] 뉴스 防災訓練:米返還予定地で初の実施へ−−相模原市、9月1日に http://mainichi.jp/a[...] 2013-07-02
[18] 웹사이트 市総合防災訓練(淵野辺公園隣接地) http://www.city.saga[...] 相模原市役所 2017-11-04
[19] 웹사이트 相模総合補給廠における火災に係る調査報告について http://www.city.saga[...] 相模原市役所 2017-11-04
[20] 웹사이트 相模総合補給廠の一部は返還へ http://www.city.saga[...] 相模原市市役所 2009-04-13
[21] 뉴스 相模補給廠17ヘクタール 近く返還 https://web.archive.[...] 2014-09-30
[22] 뉴스 米軍相模総合補給廠の一部、返還見通し/相模原 http://news.kanaloco[...] 2010-06-08
[23] 뉴스 相模原駅北口「コンベンション施設」導入調査 相模原市が公表 https://machida.keiz[...] 2018-06-21
[24] 뉴스 相模原市「公共施設の再編」検討 市役所の駅前移転も候補に https://machida.keiz[...] 2018-06-22
[25] 뉴스 相模原スポーツ・レクリエーションパーク(運動公園) https://www.city.sag[...] 2020-11-13
[26] 웹사이트 リニア中央新幹線駅 候補地巡り橋本と相模原が誘致合戦 http://www.sokeinp.c[...] 2009-04-13
[27] 뉴스 リニア新幹線の中間駅はどうなる? http://kenplatz.nikk[...] 日経BP社 ケンプラッツ 2009-02-06
[28] 문서 相模原駅周辺まちづくり構想 https://web.archive.[...] 사가미하라 시청 2015-12-24
[29] 뉴스 Explosion at Sagami Depot Army facility near Tokyo draws criticism from Japanese https://web.archive.[...] 스타스 앤 스트립스 2015-12-24
[30] 뉴스 日, 사가미하라 미군기지 보급창고서 대폭발…“부상자 없어” https://web.archive.[...] 교도통신 2015-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